검사도구를 이용한 언어평가는 표준화된 과정에 따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아동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또래 아동들의 평균과 비교해 봄으로써 언어 발달이 얼마나 지체 또는 일탈되어 있는가를 평가하는 것이다. 외국에는 언어의 영역별, 아동의 연령별, 또한 장애별로 다양한 언어검사들이 개발되어 있으니 우리나라는 매우 제한적인 검사도구들만이 개발된 실정이다.

    1. 그림 어휘력 검사: 그림 어휘력 검사는 어휘 이해력을 평가하는 검사 도구로서 서울 장애인복지관에서 2-8세까지만 표준화한 것이다. 표집은 연령, 성별, 지역, 그리고 생활수준을 고려하였다. 연령은 2세에서 8세까지 6개월 간격으로 각 연령 당 50-80명 정도를 표집 하였으며 성별은 남녀의 비울이 유사하도록 하였고 지역은 서울과 대구에서, 그리고 생활수준은 중산층 가정이 밀집된 지역의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 등에서 표집 하였다. 표집 대상 아동의 수는 1,636명이었다. PPVT-R과 한국 문헌을 근거로 178개의 예비 문항에 대한 예비 검사 결과 변별도 지수, 도시 및 성차, 난이도 등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112개의 문항이 구성되었다. 그중 PPVT-R에서는 59개의 문항을 포함하게 되었다. 검사의 신회도 및 타당도 측정을 위하여 연령별 내적일치도계수와 각 문항 정답률의 차이 검증을 하였으며 문항 선정을 위해서는 난이도 및 변별도 지수를 구하였고 결과 해석을 위해서는 백분위 산출표에 등가 연령을 제시하였다. 그림 어휘력 검사는 2-8세 아동의 수용 언어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이 검사는 4개의 그림 중에서 검사자가 지시하는 것을 손으로 가리키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일반 아동은 물론 정신지체, 청각장애, 뇌손상 자폐, 행동 결함, 또는 뇌성마비 아동들에게 실시할 수 있다. 준비물은 그림 자료 및 검사지가 필요하며 채점 방법은 맞으면 1점, 틀리면 0점으로 처리한다. 검사 실시 방법은 첫 번째로 연습 문항을 실시한다. 두 번째, 아동의 생활연령 혹은 추측되는 언어 연령에 해당하는 항목부터 시작하여 연속해서 8개 항목을 맞출 때(기초선)까지 아래 항목(낮은 단계)으로 계속 내려간다. 세 번째, 기초선이 설정되면 최소한계선에 다다를 때까지 상위 항목으로 계속 올라간다. 최고 한계선은 연속적인 8개 항목 중 6개를 틀리는 항목으로 한다. 맞은 항목의 수를 세어 각 항목 당 1점씩 배점하여 원점수를 산출한다. 원점수는 (최고 한계선의 항목 번호 - 틀린 항목 수)로 산출할 수도 있으며 기초선 이하의 항목들은 모두 맞은 것으로 간주한다. 결과 해석 시 백분위 점수는 얻어진 자료를 크기의 순서로 늘어놓아 100 등분하는 값을 말하며 검사 실시요강에 나온 백분위 산출표를 보고 연령에 맞는 백분위를 찾는다. 등가 연령은 생활연령과 관계없이 아동이 검사에서 받은 원점수가 어떤 발달 수준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원점수를 통한 등가 연령은 실시 요강의 표를 통해 찾는다. 검사의 장점은 실시가 용이하고 우리나라 아동들의 기준에 맞추어 수용 언어발달 연령을 산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흑백 그림에 대한 아동들의 흥미도가 떨어지기 쉽고 등가 연령이 6개월 간격으로 너무 넓게 되어 있어서 정밀한 진단을 하기가 다소 어려운 점이 있다는 것이다. 

    2. 문장 이해력 검사: 문장 이해력 검사는 학령전 아동들의 문장 이해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도구로서 미국 Test Of Languange Development-2(TOLD,1988) 중에서 문법 이해력 하위 검사를 장혜성, 임선숙, 백현정이 한국 유아 및 아동들을 대상으로 표준화한 것이다. 대상 연령은 4세에서 6세로 총 406명을 표집 하였다. 이 검사는 문법 이해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총 27개의 문항으로 재구성되었으며 검사자가 읽어 준 문장을 듣고 유아 또는 아동이 그에 해당하는 그림을 지적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결과는 백분위 점수와 등가 연령으로 제시되었다. 검사 대상은 일반 아동은 물론 정신지체, 청각장애, 언어장애, 자폐, 행동과다, 뇌성 마비 및 주의력 결핍 등의 문제로 인해서 언어에 문제가 있는 아동들이다. 검사 준비물은 검사 실시요강, 그림 자료 및 검사지가 필요하고 채점 방법은 맞으면 +점, 틀리면 -점, 무반응 NR로 정한다. 검사 실시 방법은 첫 번째, 아동에게 실시 방법을 설명한다. 두 번째 , 1번 문항부터 실시해 나간다. 세 번째, 모든 문항은 쓰인 문장을 그대로 정확하게 읽어준다. 네 번째, 연속적으로 5문항 이상 틀리게 지적하면 중지한다. 다섯째, 맞은 항목의 수를 세어 각 항목당 1점씩 배점하여 원점수를 산출한다. 여섯째, 원점수를 통해서 주어진 표를 참조하여 백분위 점수와 등가 연령을 산출한다. 결과 해석은 백분위 점수는 얻어진 자료를 크기의 순서로 늘어놓아 100 등분하는 값을 말하며 검사 실시요강에 나온 백분위 산출표를 보고 연령에 맞는 백분위를 찾는다. 등가 연령은 생활연령과 관계없이 아동이 본 검사에서 받은 원점수가 어떤 발달 수준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원점수를 통한 등가연령은 실시 요강의 표를 통해 찾는다. 검사의 장점은 실시가 용이하고 우리나라 아동들의 기준에 맞추어 문장 이해력에 대한 수용 언어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흑백 그림에 대한 아동들의 흥미도가 떨어지기 쉽고 등가 연령이 1년 간격으로 너무 넓게 되어 있어 정밀한 진단을 하기가 다소 어려운 점이 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